'돼'와 '되'의 차이에 대한 설명은 지식인에 참 많습니다.

'되어'의 준말이 '돼'라는 것은 많이들 알고 계시지만 '되어'에서 '-어'는 어디에서 온 것이며, '돼'와 '되'의 근본적인 차이가 무엇인지는 밝히지 않고 그저 상황에 따라 어떻게 쓰면 되는지에 대해서만 말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.

그래서 '돼'와 '되'의 그 근본적 차이에 대해서 말씀을 드리고자 합니다.

'돼'는 '되어'의 준말입니다.

기본형은 '되다'입니다.

> 되다 ㅡ> 되(어간) + 다(어미)

1.

그러니 다른 말이 붙으려면 어간 '되'에 붙게 됩니다.

> 되 + 고 ㅡ> 되고

> 되 + 니까 ㅡ> 되니까

> 되 + 지 ㅡ> 되지

> 되 + 면 ㅡ> 되면

위의 낱말이 '되'가 아니라 '돼'라면 '되어'를 넣으면 말이 되겠죠?

'돼'는 '되어'의 준말이니까요. 한번 넣어 봅시다.

> 돼 + 고 ㅡ> 되어 + 고 ㅡ> 되어고[X]

> 돼 + 니까 ㅡ> 되어 + 니까 ㅡ> 되어니까[X]

> 돼 + 지 ㅡ> 되어 + 지 ㅡ> 되어지[X]

> 돼 + 면 ㅡ> 되어 + 면 ㅡ> 되어면[X]

전부 어색하지 않습니까? '어'가 들어가지 않아도 될 자리에 쓸데없이 '어'를 넣었으니 말이 어색한 건 당연합니다.

2.

어간 '되'에 '어'로 시작하는 어미가 오면 '되어'가 되고 이것이 줄어서 '돼'가 되는 것입니다.

> 되 + 어서 ㅡ> 되어서 ㅡ> 돼서

> 되 + 어야 ㅡ> 되어야 ㅡ> 돼야

> 되 + 었다 ㅡ> 되었다 ㅡ> 됐다

# '되어서'와 '되어야'에서 '서, 야'는 단독으로 쓰이지 않습니다.

어간의 끝 음절 모음이 'ㅏ/ㅗ'일 때는 앞에 '아'가 오고

> 막(ㅏ) + 아서/아야 ㅡ> 막아서/막아야

> 보(ㅗ) + 아서/아야 ㅡ> 보아서/보아야 ㅡ> 봐서/봐야

어간의 끝 음절 모음이 'ㅏ/ㅗ' 이외일 때는 앞에 '어'가 옵니다.

> 먹(ㅓ) + 어서/어야 ㅡ> 먹어서/먹어야

> 굶(ㅜ) + 어서/어야 ㅡ> 굶어서/굶어야

그러므로 어간 '되'는 모음이 'ㅣ'로 끝났으므로 '어'가 옵니다.

> 되(ㅣ) + 어서 ㅡ> 되어서 ㅡ> 돼서

> 되(ㅣ) + 어야 ㅡ> 되어야 ㅡ> 돼야

참고로, '가다'와 '서다'의 경우는

> 가(ㅏ) + 아서/아야 ㅡ> 가아서/가아야

> 서(ㅓ) + 어서/어야 ㅡ> 서어서/서어야

이처럼 받침이 없는 어간의 끝 음절 모음과 어미의 '아/어'가 겹칠 때에는 어미가 줄어들게 됩니다.

> 가아서 ㅡ> 가(아)서/가(아)야 ㅡ> 가서/가야

> 서어서 ㅡ> 서(어)서/서(어)야 ㅡ> 서서/서야

결론은 '되서, 되야'란 말은 없습니다.

어간 '되'에 '어서/어야'가 붙고 반드시 '되어서/되어야'의 준말인 '돼서/돼야'라고 써야 합니다.

> 되 + 어서 ㅡ> 되어서 ㅡ> 돼서

> 되 + 어야 ㅡ> 되어야 ㅡ> 돼야

'잘되다'도 마찬가지입니다.

> 잘되 + 어서 ㅡ> 잘되어서 ㅡ> 잘돼서 좋겠다.

> 잘되 + 어야 ㅡ> 잘되어야 ㅡ> 잘돼야 할 텐데..

어간 '되' 다음에 시제를 나타내는 어미 '었(과거),겠(미래)'이 올 수 있습니다.

이 중 '었'이 올 적에는 '되었'의 준말로는 '됐'을 씁니다.

> 되 + 었 + 다 ㅡ> 되었다 ㅡ> 됐다

> 되 + 었 + 거든 ㅡ> 되었거든 ㅡ> 됐거든

> 되 + 었 + 으니까 ㅡ> 되었으니까 ㅡ> 됐으니까

> 되 + 었 + 든(지) ㅡ> 되었든(지) ㅡ> 됐든(지)

3.

다음으로 종결할 때의 형태를 봅시다.

> 지금 가도 돼.

이때 '돼'가 맞을까요?

'돼'는 '되어'의 준말이라고 했으니까 대신 '되어'를 넣어보죠.

> 지금 가도 되어.

좀 어색하지요? 하지만 맞는 말입니다.

왜냐하면 종결할 때는 어간만 써서 종결하는 경우는 없습니다.

> 얼른 밥 먹어.

> 나중에 보아. ㅡ> 봐.

위의 낱말들을 어간만 써서 종결한다면

> 얼른 밥 먹. [X]

> 나중에 보. [X]

어색하지요?

그러니까 문장을 종결할 때는 반드시 종결 어미를 써야 합니다.

> 지금 가도 되 + 어. ㅡ> 되어. ㅡ> 돼.

위에서 설명했듯이 '되'만으로 끝나는 경우는 없습니다.

반드시 종결어미를 '되'에 붙여서 끝내야 합니다.

> 가도 돼. (되+어)

> 가도 되지. (되+지)

명사에 '되다'가 붙어 이루어진 동사를 '되다형 자동사'라고 하는데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'되'로 끝나는 경우는 없습니다.

기본형 '기대되다'의 예 ㅡ> 기대되(어간) + 다(종결어미)

> 기대되 + 어 ㅡ> 기대되어 ㅡ> 기대돼

> 기대되 + 었 + 어 ㅡ> 기대되었어 ㅡ> 기대됐어

> 기대되 + 지 ㅡ> 기대되지

> 기대되 + 었 + 지 ㅡ> 기대되었지 ㅡ> 기대됐지

> 기대되 + 었 + 지요 ㅡ> 기대되었지요 ㅡ> 기대됐지요

ㅡ> 기대됐죠

참고로,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'가다'와 '서다'의 경우에는

> 가 + 아 ㅡ> 가아 ㅡ> 가

> 서 + 어 ㅡ> 서어 ㅡ> 서

이처럼 종결어미 없이 '가,서'만 쓴 것이 아니라 원래는 '가아, 서어'인데 어간의 끝 음절 모음과 어미의 모음이 중복되므로 어미가 생략된 것입니다.

4.

종결할 때의 형태 중에 자주 틀리는 것을 봅시다.

> 그러면 안되요.

위 말은 맞게 쓴 걸까요?

언뜻 맞는 것 같지만 틀렸습니다.

> 그러면 안돼요. [O]

기본형은 '안되다' ㅡ> 안되(어간) + 다(어미)

> 안되 + 어요 ㅡ> 안되어요 ㅡ> 안돼요

# '요'는 종결어미로 쓰이지 않습니다. 정확하게는 보조사라고 하는데 설명하자면 기니까 생략하고, 기억할 것은 종결어미가 아니므로 어간 뒤에 바로 붙지 못하고 그 앞에 종결어미가 온다는 것입니다.

> 안되(어간) + 어(종결어미) + 요(보조사)

ㅡ> 안되어요 ㅡ> 안돼요

> 막다 ㅡ> 막(어간) + 아(종결어미) + 요(보조사)

ㅡ> 막아요

이처럼 '어요/아요'는 본래 '어미(어/아) + 보조사(요)'이지만, '어요, 아요'를 통째로 하나의 종결어미로 봅니다.

다음은 맞았을까요?

> 하면 안되죠?

'안되죠'를 원형태로 바꾸면

> 안되죠? ㅡ> 안되지요?

위에서 '요'는 보조사로 종결어미로는 쓰이지 못한다고 했습니다.

때문에 앞에 종결어미가 필요한데 '지'가 왔습니다.

> 안되(어간) + 지(종결어미) + 요(보조사)

ㅡ> 안되지요 ㅡ> 안되죠

그렇기 때문에 '안되죠'는 맞게 쓴 것입니다.

만약 '안돼죠'라고 쓴다면

> 안돼죠 ㅡ> 안되어죠 ㅡ> 안되어지요

ㅡ> 안되(어간) + 어 + 지(종결어미) + 요(보조사)

종결어미로 쓰이는 '지'는 어간 뒤에 바로 붙습니다.

> 먹 + 지 ㅡ> 먹지

> 굶 + 지 ㅡ> 굶지

> 가 + 지 ㅡ> 가지

> 서 + 지 ㅡ> 서지

때문에 '안되어지요'에서 '어'는 불필요하게 들어간 것입니다.

> 안되어지요 ㅡ> 안돼지요 ㅡ> 안돼죠 [X]

> 안되지요 ㅡ> 안되죠 [O]

참고로, '었/았/겠/시'등 시제나 높임을 나타내는 어미

(선어말어미)는 종결어미 앞에 올 수가 있습니다.

> 안되 + 었 + 어 ㅡ> 안되었어 ㅡ> 안됐어

> 안되 + 었 + 지 + 요 ㅡ> 안되었지요 ㅡ> 됐지요 ㅡ> 안됐죠

> 안되 + 겠 + 지 + 요 ㅡ> 안되겠지요 ㅡ> 안되겠죠

> 안되 + 시 + 지 + 요 ㅡ> 안되시지요 ㅡ> 안되시죠

# '지요'도 '어요'처럼 원래는 종결어미 '지'에 보조사 '요'가 합쳐진 형태지만 통째로 하나의 종결어미로 봅니다.

# '안 돼(요)'와 '안돼(요)'처럼 띄어 쓰느냐 붙여 쓰느냐에 따라 그 의미상의 차이가 있지만 여기서는 '되'와 '돼'의 차이에 중점을 두었으므로 의미상 구분은 하지 않고 '안돼(요)'처럼 붙여쓰는 경우만을 보았습니다.

'안 되지요'와 '안되지요'도 마찬가지입니다.

# '잘되다'도 같게 생각하면 됩니다.

> 잘되다 ㅡ> 잘되(어간) + 다(어미)

> 잘되 + 어요 ㅡ> 잘되어요 ㅡ> 잘돼요

> 잘되 + 었 + 어 ㅡ> 잘되었어 ㅡ> 잘됐어

> 잘되 + 었 + 으니까 ㅡ> 잘되었으니까 ㅡ> 잘됐으니까

> 잘되 + 지요 ㅡ> 잘되지요 ㅡ> 잘되죠

> 잘되 + 었 + 지요 ㅡ> 잘되었지요 ㅡ> 잘됐지요 ㅡ> 잘됐죠

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

그렇다면 한가지,

왜 사람들이 '하'를 넣어서 어색하지 않으면 '되'를 '해'를 넣어서 어색하지 않으면 '돼'를 쓰면 된다고 하는 걸까요?

그것은 기본형 '하다'는 어간만 쓰일 때의 '하'와 어간 '하'에 '여'가 붙은 형태 '하여'의 준말인 '해'가 그 발음상으로 명확하게 구분이 되기 때문입니다.

'되'와 '돼'는 발음으로는 그 차이를 구분할 수 없습니다.

때문에 그 성분을 분석하지 않으면 어느 것을 쓰는 게 맞는지 헷갈리므로, '되/돼'와 문법적 활용이 거의 같은 '하/해'를 대신 넣어서 어간만 쓰인 건지( 하 ㅡ> 되 ), 준말이 쓰인 건지( 해: 하여 ㅡ> 돼: 되어 )를 쉽게 구분하라는 것입니다.

예) 괄호 안에 '되'가 맞을까요? 아니면 '돼'가 맞을까요?

이럴 때 '하'나 '해'를 넣어서 '하'가 어색하지 않으면 '되'

'해'가 어색하지 않으면 '돼'를 쓰라는 것입니다.

( )지 ㅡ (하)지 ㅡ('하'가 적절)ㅡ> 되지

( )네 ㅡ (하)네 ㅡ('하'가 적절)ㅡ> 되네

( )서 ㅡ (해)서 ㅡ('해'가 적절)ㅡ> 돼서

( )요 ㅡ (해)요 ㅡㅡㅡㅡㅡㅡㅡㅡ> 돼요

잘( )요 ㅡ 잘(해)요 ㅡㅡㅡㅡㅡㅡ> 잘돼요

잘( )야 ㅡ 잘(해)야 ㅡㅡㅡㅡㅡㅡ> 잘돼야

기대( ) ㅡ 기대(해) ㅡㅡㅡㅡㅡㅡ> 기대돼

안( )요 ㅡ 안(해)요 ㅡㅡㅡㅡㅡㅡ> 안돼요


(출처 : ''되어 → 돼'에 대한 총정리' - 네이버 지식iN)

Posted by 퓨전마법사
,